예배에 대한 반추(Reflection)

예배에 대한 반추(Reflection)

이에리야 목사

  • 등록 2022.05.14 12:06
  • 조회수 188

예배에 대한 반추(Reflection) 


[크기변환]이에리야목사.png

글 l 이에리야 목사 


예배의 근본은 2G입니다. 즉 하나님의 은혜 (Grace)의 부르심과 우리의 응답(Gratitude)입니다. 하나님의 은혜와 우리의 응답이 극대화 될 수 있는 예배가 되도록, 

우리가 드리는 예배를 반성하고 반추해 보아야겠습니다. 

Union-PSCE 기독교교육 은퇴교수인 제인 밴 (Jane Rogers Vann)은 예배를 이루는 상징 언어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. 6가지 상징 언어는다음과같습니다. 

1.상징물:예배에서 하나님, 또는 예수님, 오늘의 예배의 주제가 들어나는 상징물을 나타냅니다. 

예로 십자가, 대림절 촛대, 교회력에 따른 배너들 (빨강, 녹색, 보라색, 흰색, 검은색)을 예로 들 수 있 습니다. 

2. 공간 : 예배드리는 공간을 말합니다. 예배드리는 공간은 오직 예배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의 공간이어야 합니다. 

십자가 주위에 십자가 보다 더욱 시선을 끄는 다른 무언가가 보이지 않는지, 예배를 방해 하는 물건들이 없도록 해야합니다. 

3. 제스처 : 예배 가운데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입니다. 예배를 인도하시고, 말씀을 전하시는 목사님 의 진지한 태도와 표정, 

또한 성도의 예배의 몸짓과 찬양대의 움직임과 워쉽팀의 은혜로운 모든 몸짓이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가 됩니다. 

4.시간 : 절기와 교회력을 말합니다.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지만, 그 절기와 교회력의 시간만큼은 그 의미대로 하나님께, 주님께 더욱 시간을 드려야 합니다.  

5.언어 : 예전적 언어를 말합니다. 바나님, 예수님, 성령님, 예배를 합니다. 기도합니다.’ 거룩한 예전적 언어들을 우리가 함부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

거룩하게 말할 때, 예배를 드리는 아이들이나 성도들에게 ‘하나님’ , ‘예수님’ 이라는 거룩한 단어들이 마음을 파고 듭니다.

6.음악 : 모든 음향들과 악기들과 찬양대와 예배에 쓰이는모든음악적 표현들이 예배가 됩니다. 

제인 밴 교수는 예배를 이루는 여섯가지 상징 언어들이 조화를 이룰 때 하나님의 임재를 더욱 가깝 게 느낄 수 있는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. 

비전센터 건축이 막바지에 이르렀고, 비전센터 예배실의 환경을 결정해 나가야 할 이 시점에서 현재 예배의 모습들을 돌아 보아야겠습니다. 

이 반성들을통하여 새롭게 시작하는 비전센터에서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 완전한 하모니로 올리는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.